케이앤아이 노동법 연구소
구독하기
(광고)[K&I 연구소 뉴스레터] 2024. 5. 21. 고용노동부가 이런 법안들을 발의했어요
2024. 6. 3.
(광고)[K&I 연구소 뉴스레터] 2024. 5. 21. 고용노동부가 이런 법안들을 발의했어요
이 메일이 잘 안보이시나요?
2024. 5. 21. 고용노동부가 이런 법안들을 발의했어요
노무법인 한국노사관계진흥원
- 부설 K&I 연구소 -
안녕하세요, 기업 중심 노동법 정보 전달에 앞장 서는
"K&I 연구소"
입니다.
✅ 오늘은 고용노동부에서 발의한 노동법안들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이 법안들은 이제 막 발의된 것이라
아직 논의 단계
이고, 향후 국회에서 위원회 심사를 거치고 본회의 표결로 통과되어야만 실제로 법 개정이 됩니다.
다만, 이 법안 내용들로
향후 정부의 정책 방향을 엿보실 수 있으니
한 번 참고해보세요.
아래 내용 중 실제로 법으로 시행되는 사항이 발생하면 다시 한 번 신속하게 관련 내용을 정리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 가장 먼저 노동법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
K&I 연구소 드림
✔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기간이 늘어나요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안)
현행
- 사용 대상: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 자녀를 둔 경우
- 사용 기간: 1년 이내로 하되
육아휴직 미사용기간만큼 가산 가능
개정안
- 사용 대상:
만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 자녀를 둔 경우
- 사용 기간: 1년 이내로 하되
육아휴직 미사용기간의 2배
만큼
가산 가능
✔ 법인의 대표자도 직장 내 성희롱 시 과태료가 부과돼요
(남녀고용평등법 개정안)
현행
- 사업주의 경우 직장 내 성희롱을
하면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
- 그러나 법인의 경우 사업주는
'법인'이므로, 법인의 대표자는 직장
내 성희롱 행위자라도 과태료가
부과되지 않았음
개정안
- 법인의 대표자도 직장 내 성희롱을
하면 과태료 부과 대상이 됨
✔ 우리 회사를 그만둔 근로자들이 실업급여를 많이 받으면,
우리 회사 고용보험료가 올라가요
(보험료징수법 개정안)
구직급여(실업급여) 수급자가 다수 발생하고,
해당 사업에 부과된 보험료 대비 구직급여 금액의 비율이 높은 사업장
에 대해
실업급여 보험료를 최대 40%까지 추가 부과
합니다.
-
구직급여(실업급여)를 반복해서 수급하는 근로자/예술인/노무제공자도 구직급여
일액이 최대
50% 내에서 감액될 수 있고, 구직급여 수급을 위한 대기기간도 최대
4주 범위에서 연장될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법 개정안)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청구기간이 늘어나요
(근로기준법 개정안)
현행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
→ 1일 2시간 이내 근로시간 단축
청구 가능
개정안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
근로시간 단축 청구가 가능하도록
청구기간 확대
✔ 난임치료휴가 기간이 늘어나요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개정안)
현행
연간 3일 이내(최초 1일 유급) 부여
개정안
연간
6일
이내(최초
2일
유급) 부여
우선지원 대상기업에는 난임치료휴가 유급기간에 대해
고용보험 급여로 지원
합니다.
사업주에게는 난임치료휴가 신청으로 알게 된 근로자 정보에 대해
비밀유지의무가 부과
됩니다.
✔ 배우자출산휴가를 더 자유롭게 사용해요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개정안)
현행
- 1회 분할 사용 허용
- (우선지원대상기업) 5일분 지원
개정안
-
3회
분할 사용 허용
- (우선지원대상기업)
10일분
지원
구독자님 반갑습니다.
지난 뉴스레터도 확인해 보세요.
[뉴스레터 모아보기]
뉴스레터가 마음에 드셨다면,
친구, 동료와 함께 나눠보세요.
[구독 링크 바로가기]
노무법인 한국노사관계진흥원
- 부설 K&I 노동법 연구소 -
발신자 nosaplus@daum.net
서울특별시 마포구 독막로 320, 602호
02 - 3272 - 8005
수신거부
Unsubscribe
공유하기
케이앤아이 노동법 연구소
를 구독하고 이메일로 받아보세요
노무법인 한국노사관계진흥원 부설 K&I 연구소의 노동법 뉴스레터입니다.
구독하기
이전 뉴스레터
(광고)[K&I 노동법 연구소] 상시 근로자 수 산정, 너무 어려워요.
2024. 6. 3.
다음 뉴스레터
(광고)[K&I 연구소 뉴스레터] 윤석열 대통령이 말하다, 주요 노동정책의 방향성
2024. 6. 14.
케이앤아이 노동법 연구소
노무법인 한국노사관계진흥원 부설 K&I 연구소의 노동법 뉴스레터입니다.